목차
오늘은 장기전세주택 입주자격을 알아보겠습니다
내집마련의 꿈을 꾸지만 여의치않은 삶이라면
서울,경기도 장기전세주택 입주자 모집공고가
나오기전부터 본인이 입주조건을 갖췄는지
아래 설명대로 점검해보시길 바랍니다
장기전세주택이란?
장기전세주택을 가리켜 시프트(SHIFT)라고 부릅니다
중산층과 무주택자를 대상으로 서울시와 SH공사가
2007년부터 공급하기 시작한 장기전세주택으로
주변 전세 시세 80% 이하의 가격에 최장 20년까지
거주할 수 있는 파격적인 조건을 내걸고 있습니다
시프트(shift)'란 '바꾸다'라는 뜻으로 주택의 개념을
소유에서 주거로 변환시킨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장기전세주택의 장점은?
내집마련할 돈이 마땅치 않을 경우엔
임대주택을 노리는게 맘이 편합니다
하지만 이중에서도 가장 주목받는게
바로 SH공사의 장기전세주택입니다
임대아파트 종류가 장기전세,영구임대
국민임대,행복주택 등 많지만 장기전세를
선호하는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은이유는
국민임대나 영구임대 등과 비교해서
훨씬 넓은 33평(전용84제곱미터) 이상
임대아파트를 임대할 수 있기때문입니다
서울 장기전세입주자 모집공고
2019년 7월 31일 제 37차 장기전세주택 입주자 모집공고를 냈습니다
래미안길음센터피스,암사힐스테이트,휘경SK뷰 등 대다수 신규아파트
평균 경쟁률은 평균 10:1 ~ 30:1로 다소 쎈 편이였습니다
이중 최고는 성동구에 위치한 성동구 서울숲아이파크로
경쟁률이 무려 117.5 : 1 이였습니다
성동구의 경우엔 강남권에 인접해있을뿐 아니라
구리,남양주,가평,양평으로 접근성 또한 훌륭하죠
대중교통 이용자에게도 2호선 라인을 끼고있어
더할나위없는 지역이라 경쟁이 더욱 치열하네요
장기전세주택 소득기준
SH 공사의 장기전세주택에 입주하려면
서울시에 거주하는 무주택세대구성원으로
소득 및 자산보유 기준에 맞아야 합니다
▶ 무주택세대구성원이란?
세대원 전원이 주택(분양권 등)을
소유하지않은 세대의 구성원입니다
건설형 주택 : 가구당 월평균 70% 이하 소득
매입형 주택 : 가구당 월평균 100~120% 이하
생각보다 타이트한 조건이죠
가구당 월평균 소득이 70% 이하면
3인가구 기준 : 3,781,270원
4인가구 기준 : 4,315,641원
5인가구 기준 : 4,689,906원
더자세한 도시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아래표로
정리했으니 소득구간별 (50~150%)로 살펴보세요
장기전세주택 입주자격
세대구성원 전원이 소유하고 있는 모든 토지 및 건축물
합산으로 21,550만원 이하, 자동차 보유기준은 2,799만원 이하
즉, 대형SUV 쏘렌토 이상의 차주는 시프트 장기전세주택
입주자격에 해당사항이 없다는 말이 됩니다
장기전세주택 입주자 선정기준
SH공사의 시프트 장기전세주택의 입주자 선정은
면적별로 약간씩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전용 60제곱미터초과 ~ 전용 85제곱미터 이하
주택의 경우 다음과 같은 기준이 있습니다
1순위 : 주택청약종합저축 24회 이상 납입
2순위 : 주택청약종합저축 6회 이상 납입
3순위 : 1순위 및 2순위에 해당하지 않는자
동순위 경쟁시 입주자 선정기준
간략히 정리하자면 서울에서 10년 이상
무주택으로 살고 있는 A씨(50세 이상)이
5인 이상의 부양가족을 갖고있고
5자녀 이상의 자녀를 낳은 상태에서
96회 이상 (8년이상) 청약통장에
매달 청약을 납입했고 통장만든지
8년이 넘었다면 시프트 동순위 경쟁시
좀더 높은 당첨확률이 있습니다
하지만
생각보다 까다로운 신청자격과
높은 경쟁률 덕분에 당첨되기란
하늘의 별 따위가 비슷합니다
그렇다고 포기는 마세요
청약경쟁 거칠것도 없고 소득기준 적용도 안받고
2년마다 심사없는 장기전세 철거민 특별공급으로
SH공사 장기전세 입주에 성공할 수도 있거든요
( 본 포스팅에서는 생략 )
이상
장기전세주택의 입주자격 정보를 알려드렸습니다
많이본글 모음
2019/11/14 - [생활속지혜] - 지역주택조합 문제점 이거죠
2019/11/20 - [생활속지혜] - 청년 신혼부부 매입임대주택 총정리
2019/12/02 - [생활속지혜] - 토지대장 무료열람 진짜